괘불(掛佛)은 그림으로 그려서 걸어 놓은 부처의 모습을 말한다. 석가탄신일이나 영산재, 수륙재 등 많은 대중이 모여 법당에서 법회를 가질 수 없는 경우 야외법회에 모셔 성대하게 불교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제작한 대형 불화를 말한다. 괘불도(掛佛畵) 또는 괘불탱(掛佛幀), 괘불화(掛佛畵) 라고도 한다.
== 구성 ==
괘불은 현존하는 작품을 기준으로 볼 때 17세기 초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왔으며, 비로자나 삼신불 · 영산회상 · 미륵보살 · 석가삼존불 등 다양한 소재로 그려졌으며, 지역적인 제작 특징도 보인다. 또한, 각 시기 마다 제작되는 도상의 내용과 표현형식이 변화되는데, 불교의 문화역량과 신앙형태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그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살필 수 있다.괘불의 화기(畵記)에는 조성 연대와 화승,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공양물 등을 시주한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 관련 문화재 ==
괘불 여러 점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주해 ==
== 각주 ==
== 외부 링크 ==
“괘불조사보고서Ⅰ”. 《국립문화재연구소》. 1992.
“괘불조사보고서Ⅱ”.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괘불조사보고서제Ⅲ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의 괘불(개요, 괘불목록, 불교회화 참고 문헌 목록) –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 포털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된 글과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