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공무원의 월급이 3.5% 인상될 예정입니다. 이는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로, 공직 사회의 처우를 정상화하기 위한 조치로 시행됩니다.
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
인상률 및 비교
2025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3.0%였으며, 2026년에는 3.5%로 상승합니다. 최저임금 인상률은 2.9%, 예상 물가상승률은 2.0%입니다. 이번 인상은 공무원 임금의 실질 구매력을 회복하고 공직 기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봉급표와 2026년 비교
아래 표는 2025년과 2026년의 공무원 봉급을 비교한 것입니다.
직급 | 2025년 봉급 | 2026년 예상 봉급 |
---|---|---|
9급 1호봉 | 2,000,900원 | 약 2,070,930원 |
8급 1호봉 | 2,028,200원 | 약 2,099,180원 |
7급 1호봉 | 2,173,600원 | 약 2,249,670원 |
6급 1호봉 | 2,308,700원 | 약 2,389,500원 |
5급 1호봉 | 2,798,500원 | 약 2,896,440원 |
주의: 위 표는 3.5% 인상 기준의 예상치로, 실제 봉급표는 인사혁신처의 공식 고시 후 확정됩니다.
2026년 공무원 봉급표 (예상)
아래는 2026년 공무원 봉급표의 예상 내용입니다.
호봉 | 1급 | 2급 | 3급 | 4급·6등급 | 5급·5등급 | 6급·4등급 | 7급·3등급 | 8급·2등급 | 9급·1등급 |
---|---|---|---|---|---|---|---|---|---|
1 | 4,656,051 | 4,191,647 | 3,781,683 | 3,241,206 | 2,896,448 | 2,389,505 | 2,249,676 | 2,099,187 | 2,070,932 |
2 | 4,819,271 | 4,347,104 | 3,921,615 | 3,373,479 | 3,013,403 | 2,500,664 | 2,315,399 | 2,139,966 | 2,087,595 |
3 | 4,986,630 | 4,504,734 | 4,065,687 | 3,508,029 | 3,135,015 | 2,615,238 | 2,388,263 | 2,186,438 | 2,110,883 |
… | … | … | … | … | … | … | … | … | … |
20 | 7,770,573 | 7,008,089 | 6,342,066 | 5,595,314 | 5,082,678 | 4,379,603 | 3,968,397 | 3,571,061 | 3,257,042 |
공무원 연봉 실수령액
2025년 기준 9급 초임의 연봉은 약 3,222만원이며, 2026년에는 약 3,300만원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공무원 연봉은 기본 봉급 외에도 정근수당, 직무수당, 가족수당 등 다양한 수당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공무원 보수 인상의 이유
공직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으며, 공무원 준비생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2021년 31.3만 명에서 2025년 12.9만 명으로 감소했으며, 조기 퇴직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 정책의 일환으로 보수 인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공무원 임금 인상은 확정인가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의결한 내용은 기재부 심사와 국무회의 통과 후 확정됩니다.
수당이 실제 실수령액에 얼마나 영향을 주나요?
정액급식비와 직급보조비 인상은 월 실수령액에 5만 원 이상의 상승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9급 공무원 초임 연봉은 어느 정도인가요?
약 3,300만 원 이상(기본급 + 수당 기준)이며, 향후 추가 수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