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및 기초생활보장제도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및 기초생활보장제도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7월 31일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해 이번 중위소득을 결정하였으며, 이는 기초생활보장 급여 선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중위소득 개요

중위소득 정의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의 모든 가구를 소득에 따라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체 가구의 월 소득을 조사하여 가장 낮은 금액부터 높은 금액까지 정렬한 후,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2026년도 기준으로 1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256만 4천원, 4인 가구는 649만 4천738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각각 전년도 대비 증가한 수치입니다.

가구원 수 2025년도 중위소득 2026년도 중위소득
1인 239만 원 256만 원
4인 609만 원 649만 원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기초생활보장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란?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주요 목표는 모든 국민이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에 따라 지급되며, 2026년 기준 1인 가구의 생계급여는 82만 5천556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본인 부담금 제외 전액이 지원됩니다.

중위소득 기준의 중요성

중위소득은 기초생활수급자 선정의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의 기준점으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의료급여, 국가장학금, 자활근로사업 등 총 80가지에 달하는 사업들이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운영됩니다.

2026년도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 기준

아래는 2026년도 기준으로 각 급여별 선정 기준입니다.

급여 종류 1인 가구 선정 기준 2인 가구 선정 기준 3인 가구 선정 기준 4인 가구 선정 기준
생계급여 82만 5천556원 134만 3천773원 171만 4천892원 207만 8천316원
의료급여 102만 5천695원 167만 9천717원 214만 3천614원 259만 7천895원
주거급여 123만 8천834원 201만 5천660원 257만 2천337원 311만 7천474원
교육급여 128만 2천119원 209만 9천646원 267만 9천518원 324만 7천369원

자주 묻는 질문

중위소득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의 모든 가구에서 월 소득을 조사하여, 가장 낮은 소득부터 높은 소득까지 나열한 후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으로 결정됩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어떤 지원을 포함하나요?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다양한 지원을 포함하며, 각종 정부 지원 사업의 기준이 됩니다.

이전 글: 인천 지역 일반음식점 현황